Linux9 [Linux/CentOS] 리눅스 tar 압축 명령어 - tar vs tar.gz tar : 용량을 줄이기 위한 압축의 개념보다는 파일을 묶는 개념에 더 가깝다. 압축에 드는 시간이 적고 필요한 리소스가 적은 편이지만 용량은 거의 줄지 않는다. tar.gz : 압축했을 때 tar보다 용량이 많이 줄어든다. - tar 명령어 1. 하나의 파일로 묶기 tar cvf [파일명].tar [압축할폴더명] 예) tar cvf backup.tar www 2. 압축하기 tar cvfz [파일명].tar.gz [압축할폴더명] 예) tar cvfz backup.tar.gz www 3. 압축 풀기 1) 묶었을때>> tar xvf [묶은파일명].tar 2) 압축시에>> tar xvfz [압축한파일명].tar.gz 출처: https://clansim.tistory.com/50 -.. 2022. 7. 5. [Python/Linux] 파이썬 selenium 활용하여 웹 페이지 버튼 클릭하기 & 리눅스에서 실행 삽질 기록 첫번째 목표: 코드를 실행하면 웹페이지의 엑셀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 엑셀이 다운로드 되게 한다. 개발자도구로 소스 확인 결과 웹페이지의 버튼을 클릭하는 동작을 해야지만 제대로 된 엑셀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구조였음. 파이썬 라이브러리 찾아보다가 selenium 발견하고 적용해봤다. 참고한 블로그 : https://tbbrother.tistory.com/entry/%ED%8C%8C%EC%9D%B4%EC%8D%AC-%EC%85%80%EB%A6%AC%EB%8B%88%EC%97%84Selenium%EC%9D%84-%EC%9D%B4%EC%9A%A9%ED%95%B4%EC%84%9C-%EC%9B%B9-%ED%81%B4%EB%A6%AD%ED%95%98%EA%B8%B0 from selenium import we.. 2022. 6. 30. [Tomcat/Linux] 톰캣 http -> https 설정 방법 https를 사용하는 이유 : 보안을 위해서. 이 웹사이트가 어떤 사이트인지, 누가 만든 사이트인지, 통신이 안전한지 등의 정보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HTTPS 통신을 한다. HTTPS/SSL 통신을 하면, 인증기관(CA)에서 해당 사이트가 누구의 소유인가, 누가 만든것인가 등의 정보를 인증해주고, 이러한 인증기관의 인증으로 안전한 사이트 접속을 하게 한다. 출처 : https://namjackson.tistory.com/25 1) 키스토어 파일 생성 1. $JAVA_HOME/bin 으로 이동 2. keystore 파일 생성 keytool -genkey -alias tomcat -keyalg RSA -keystore tomcatkeystore 3. CSR 파일 생성 keytool -certreq -key.. 2022. 6. 30. [Linux] 리눅스 포트 열기 - 포트 열려있는지 막혀있는지 확인할 때 netstat -nap | grep 7000 - 포트 열기 (예시 : 7000) iptables -I INPUT 1 -p tcp --dport 7000 -j ACCEPT iptables -I OUTPUT 1 -p tcp --dport 7000 -j ACCEPT service iptables save /etc/init.d/iptables restart 출처 : https://blog.naver.com/firstpcb/221637563162 + 위 방법이 잘 안 먹혔을 때 쓴 방법 vi /etc/sysconfig/iptables 기존에 열려있는 포트 복사해서 열어야 하는 포트로 추가 -A INPUT -p tcp -m state --state NEW -m tcp --d.. 2022. 5. 30. 이전 1 2 다음